[효제충신ㅣ孝悌忠信] ○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충성과 믿음 ○ 孝(효도 효) 悌(공손할 제) 忠(충성 충) 信(믿을 신) 어버이에 대한 효도(孝道), 형제(兄弟)끼리의 우애(友愛), 임금에 대한 충성(忠誠)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論語(논어) 學而(학이)편에 나온다. ‘근본이 확립되면 따라야 할 올바른 도리가 생긴다.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바로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아우 弟(제)에는 공경한다는 뜻도 있다. 管仲(관중)은 명재상답게 나라를 다스리는 네 가지 덕목인 예의염치(禮義廉恥, 예절, 옳음, 청렴, 부끄러움)를 四維(사유)라 했고 여기에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덕목인 효제충신(孝悌忠信) 네 가지를 더해 八德(팔덕)이라 했다. 孟子(맹자)에게 한 제자가 군자는 왜 농사도 짓지 않으면서 밥을 먹느냐고 물었다. ‘나라에서 군자를 기용하면 나라가 편안하고 부유해지며, 청년들이 그를 따르면 효성스럽고 공경스러우며 믿음성이 있게 된다(其君用之 則安富尊榮 其子弟從之 則孝弟忠信/ 기군용지 즉안부존영 기자제종지 즉효제충신).’ 이런 중요한 일을 하는데 군자가 무위도식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盡心(진심) 上(상)편에 실려 있다. 우리 고전에서도 용례는 무수히 많다. 龍飛御天歌(용비어천가)부터 ‘익조 도조 환조 세 성인께서 서로 이어받아 오면서 효제충신으로 가법을 삼았다(翼祖度祖桓祖 三聖相承 以孝弟忠信爲家法/ 익조도조환조 삼성상승 이효제충신위가법)’로 나오고, 退溪(퇴계) 선생은 ‘효제충신은 인간이 가야 할 도리 중에 가장 중요하다(孝悌忠信 人道之大本/ 효제충신 인도지대본)’고 가르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