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경향신문 강제매각 사태의 동기가 된 문제의 신문 기사
경향신문은 1964년 5월 ‘허기진 군상’ 등의 시리즈를 통해 도시 영세민들의 비참한 삶과 정경유착 실태 등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이 시리즈 기사는 가난한 농촌과 영세민들이 보릿고개를 넘기는 절박한 삶을 생생하게 고발하는 내용으로 정권을 크게 자극했다. 같은 해 6·3 사태에 따른 계엄령 선포로 연재가 중단된 이 기사는 박 대통령을 격노케 해 결과적으로 강탈의 단초가 됐다.
박 정권의 경향신문 강탈작업은 ‘색깔 칠하기’로 신문의 이미지를 덧칠한 뒤 채권단을 동원, ‘경매처분’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형식으로 치밀하게 진행됐다.
1964년 5월 이후 경향신문은 잇단 반공법 위반이라는 이름으로 ‘융단폭격’을 받는다. 정권은 독자설문 관련 기사의 이적성 등에 시비를 걸어 편집국장과 기자 등 모두 7명을 구속했다.
또 6·3 계엄 선포 다음날 통금이 해제되자마자 ‘허기진 군상’ 시리즈를 문제삼아 당시 이준구 사장과 손충무 기자를 연행,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했다. 이 사장은 1965년에 또다시 반공법 혐의로 구속된 뒤 끝내 경향신문을 내놓게 된다.
그의 재판이 진행되던 시기에 박 대통령은 김형욱 부장을 청와대로 불러 “이제 이 사장이 경향신문에서 완전히 손을 떼게 하라”고 지시한다. 김 부장은 이후 감찰실과 대공활동국, 서울분실 등의 경쟁을 부추기며 본격적인 매각 공작에 돌입했다. 당시 간부 ㅂ씨는 진실위 면담조사에서 “김형욱 부장의 지시를 받아 경향신문건에 개입했고, 사전에 시나리오를 만들어 이 사장 부부에게 경향신문을 포기하도록 심리공작을 전개했다”고 증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