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생 A씨는 지난해 5월부터 다이어트를 위해 식욕억제제 먹기 시작한 뒤 삶이 무너졌다. 키 163cm에 53kg으로 지극히 정상 체중이었지만 병원에서 쉽게 마약성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을 수 있었다.
이후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흥분상태가 지속됐다. 자살 충동이 이어졌다. 이상한 증상을 눈치챈 부모님이 약을 빼앗아 버리기도 했지만 중독 증상 때문에 쓰레기통을 뒤져 다시 약을 찾아 먹기도 했다.
결국 계속되는 환청과 망상 때문에 A씨는 학교를 휴학했다. 요양병원에 입원해 정신과 치료를 받았다. A씨 어머니는 "건강하던 아이가 마약성 식욕억제제 복용 후 모든 것을 잃었다"고 한탄했다.
마약성 식욕억제제 오남용이 도를 넘고 있다. 일부 병원에서 돈벌이를 위해 처방 가이드라인을 어긴 채 환자들에게 무분별하게 마약성 식욕억제제를 처방하고 있다.
실제 A씨 처방전을 분석한 결과, A씨는 13개월 동안 17차례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았다. 해당 병원 측은 "한 달마다 환자를 진료했는데 특별한 부작용을 호소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실제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판매량은 매년 증가 추세다. 식욕억제제 부작용 경험자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B씨는 식욕억제제를 한 달 복용한 뒤 응급실에 실려 간 경험이 있었다. C씨는 환청에 시달렸다고 한다. 2017년 식약처에 보고된 내용에 따르면 식욕억제제 부작용으로 사망에 이른 사람도 5명이나 됐다.
문제는 병원이 처방 가이드라인을 어겨도 처벌이 불가하다는 것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을 어겼을 때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신성주 대한약사회 홍보이사는 "지난달부터 식약처가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입했다"며 "이를 이용해 보다 엄격하게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처방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