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순조 때의 유씨부인(俞氏夫人)이 지은 국문수필. <제침문>이라고도 한다. 부러진 바늘을 의인화하여 쓴 제문(祭文)이다. 미망인 유씨의 작품으로 알려졌을 뿐 연대와 작자의 인적사항 등은 모두 미상이다. 고어(古語)의 자취 및 표기법상으로 볼 때, 조선조말 내간체 작품들과 별차이 없는 점으로 보아 연대는 19세기 중엽으로 볼 수 있다.
작자는 사대부 가문의 청상과부인 듯하다. 문장실력과 고사(故事)에 능통한 점으로 보아, 비록 삯바느질을 하고 있는 처지이나 어려서부터 독서와 문안편지쓰기로 실력을 닦아온 양반집 딸인 듯하다. 서두를 "모년 모월 모일 미망인 모씨가 두어자(字) 글로써 침자(針子)에게 고하노라."고 하였다.
그리고 바늘과 더불었던 긴 세월의 회고 및 공로와 바늘의 요긴함, 바늘의 모습과 재주 찬양, 부러지던 날의 놀라움과 슬픔, 그렇게 만든 자신에 대한 자책과 회한, 그리고 내세의 기약으로 끝을 맺고 있다. 한 개의 바늘을 가지고 27년을 썼다는 사실은 조심성 깊고 알뜰한 여심을 말해주거니와, 한편 자녀 하나 두지 못한 외로운 여인이 생계를 그것에 의지하고, 반생을 동고동락하여 왔음을 전제로 이 작품을 이해하여야 될 것이다.
"자식이 귀하나 손에서 놓을 때도 있고, 비복이 순하나 거슬릴 때도 있나니" 라고 하여 자식과 비복보다 낫다고 한 점, 또 바늘이 부러지던 순간, 잠시 동안 혼절하였다는 표현과 "추호(秋毫) 같은 부리는 말하랴는 듯하고, 뚜렷한 귀는 소리를 듣는 듯하도다."라는 표현은 바늘을 생명체요 유정물(有情物)로 인정하여 그 표현은 신기(神技)에 가까운 정도이다. 이 작품은 제문에 얽힌 작자의 애절한 처지와 아울러 뛰어난 문장력과 한글체 제문이라는 측면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높다. 원문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아깝다 바늘이여, 어여쁘다 바늘이여, 너는 미묘한 품질과 특별한 재치를 가졌으니 물중(物中)의 명물(名物)이요, 철중(鐵中)의 쟁쟁(錚錚)이라. 민첩하고 날래기는 백대의 협객(俠客)이요, 굳세고 곧기는 만고의 충절이라. 추호(秋毫) 같은 부리는 말하는 듯하고, 두렷한 귀는 소리를 듣는 듯한 지라. 능라와 비단에 난봉과 공작을 수놓을 제, 그 민첩하고 신기함은 귀신이 돕는 듯하니, 어찌 인력의 미칠바리요. 오호 통재(慟哉)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