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런 우리의 세계문화유산 진입로 공사에 국민의 뜻을 모아봅시다. 자손 대대로 물려줄 훌륭한 우리 문화유산 우리 십시일반 모아서 우리 힘으로 지켜냅시다.
안동에 위치한 봉정사 중 극락전의 정면 모습이다. 2008년 촬영. 유형 | 유적 |
---|
시대 | 고려 |
---|
성격 | 사찰건물, 불전 |
---|
규모(면적) | 정면 3칸, 측면 4칸 |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태장리) 봉정사 |
---|
소유자 | 봉정사 |
---|
관리자 | 봉정사 |
---|
문화재 지정번호 | 국보 제15호 |
---|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
정의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국보. 내용정면 3칸, 측면 4칸의 주심포계(柱心包系) 맞배지붕건물. 국보 제15호. 가구(架構)는 기둥 윗몸에 창방(昌枋)을 두르고 주두를 놓은 후 그 위에 공포를 짜올려 구성하였다. 첨차는 도리 방향으로든 보 방향으로든 행공첨차(行工檐遮)를 쓰지 않았고, 출목의 첨차로 외목도리(外目道里)를 받치고 이로써 지붕 전체를 받치게 하였다. 건물 바깥쪽으로는 정면 가운데칸에 판장문을 달고 양 옆칸에는 광창(光窓)을 내었으며, 그 밖의 3면은 모두 벽으로 막아 감실형(龕室形) 건물을 구성하였다. 정면 창방(昌枋) 위에는 산 모양으로 만든 복화반대공(覆花盤臺工)을 칸마다 얹어서 뜬장여를 받쳤다. 기둥머리에 짜올린 공포(栱包) 가운데 도리 방향으로 놓은 첨차로 위 뜬장여를 받치고, 다시 뜬장여 위에 놓은 첨차로 주심도리(柱心道里)와 외목도리를 받쳤다. 측면의 가구(架構)는 기둥 높이에 변화를 주어 귀기둥을 평주(平柱)로, 그 안쪽의 두 기둥을 약간 높은 고주(高柱)로 하고, 가운데 고주는 마루도리까지 올라가게 하였다. 여기에 따라 보의 높이에도 변화를 주었다. 기둥머리 위에는 3겹으로 포갠 첨차와 장여 및 주심도리가 길게 튀어나온 채 측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종중도리(宗中道里) 및 외목도리와 더불어 9량가(九樑架)를 이루고 있다. 한편, 마루도리와 주심도리를 잇는 八자형 솟을합장을 둔 것이 특색이다. 건물의 내부는 바닥에 네모반듯한 벽돌을 깔고 뒤쪽에만 2개의 고주를 세워 그 사이에 불단(佛壇)을 설치하였다. 불단 위에는 불상과 불화(佛畫)를 봉안하였는데, 그 주위에 4개의 기둥을 세우고 기둥 윗몸을 짜맞춘 뒤 다포식(多包式) 구성을 지닌 지붕을 씌워 닫집(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을 마련하였다. 대들보 위에 2개의 복화반대공을 놓아 덧보를 받치고 이 위에 종보를 놓았고, 종보 위에는 다시 대들보 위 복화반대공과 비슷한 모양의 대공을 올려 종도리를 받았다. 종도리 양 옆에는 솟을합장을 두어 측면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처리하였다. 특징이 건물이 지닌 몇 가지 특징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까지 계승된 이른바 고식(古式)으로 여겨지고 있다. 즉 기둥머리와 소로의 굽이 안쪽으로 굽어 있는 점, 대들보 위에 산 모양에 가까운 복화반대공을 배열하고 있는 점, 첨차 끝에 쇠서를 두지 않은 점 등으로 미루어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양식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1972년에 해체 수리할 때 발견된 1625년(인조 3)의 상량문(上樑文)에는 1363년(공민왕 12)에 건물의 지붕을 중수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서, 적어도 고려 중기인 12∼13세기에 세워진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경상북도 의성 탑리의 오층석탑, 경주 불국사 청운교 돌난간의 기둥,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의 철감선사탑(澈鑒禪師塔) 기둥 등은 봉정사 극락전의 가구형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비교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국보(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봉정사극락전 건축형식의 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유근주·김경표, 『고고미술사론』 2, 199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