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 길 모퉁이에서 붕어빵 장수가 붕어빵을 굽는다. 밀가루 반죽이 붕어 모양의 검은 무쇠틀에 부어지고 그 안에 붕어빵의 맛을 좌우하는 팥고물이 들어간다. 밀가루 껍질안에 팥이 들어가 있다는 구조(?)는 같지만 단팥빵과는 전혀 다른, 뜨거움과 달콤함이 존재한다.
붕어빵
붕어빵은 1930년대에 일본에서 한국으로 들어왔다. 19세기 말 일본의 ‘다이야키’라는 빵이 그 원조인데 이것은 붕어라기보다는 도미의 형상을 한 빵이다. 여전히 도미는 귀한 생선으로 통하지만, 특히 당시 일본에서의 도미는 ‘백어(白魚)의 왕’이라고 불리며 비싸고 귀한 존재로 대접받았다. 이 귀한 것을 모양으로라도 흉내내어 빵으로 만들어 먹자는 서민들의 욕망이 탄생시킨 것이 바로 ‘다이야키’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붕어의 모양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생선이 흔하지 않았던 옛날 서울에서 가장 친숙했던 생선이 민물에서 사는 붕어였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렇게 한국으로 들어온 붕어빵은 한동안 그 모습을 찾기 힘들었다가 1990년대 들어 50~60년대를 회상하는 복고적인 정서가 대중화되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이것은 붕어빵이 단순히 군것질거리, 서민 음식의 한 종류를넘어 50~60년대를 대표하는 기호이자 상품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자나 햄버거가 서구 문화와 패스트푸드 소비에 익숙한 현재 세대를 상징하듯이 붕어빵은 아버지 세대를 대표하는 문화 상품인 것이다.
디자인적으로 보자면 붕어빵의 형태는 세련되지 않았다. 밀가루 반죽의 양이나 굽는 시간에 따라 조금씩 그 모양이나 색이 달라지긴 하지만 사실적이라기보다는 단순하고 투박하다. 하지만 정형화된 세련미 대신 뚱해 보이는 듯한 그 투박함이 우리의 정서적인 면을 건드려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버스정류장이나 재래식 시장 등 붕어빵이 팔리는 장소와 무쇠틀에서 구워지는 과정 또한 정서적인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모락모락 김을 내며 달착지근한 향을 풍기는 붕어빵 노점은 한국인들이라면 누구나 겨울이 왔음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상징적인 풍경이고, 사람들은 해마다 때가 되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이 풍경에서 푸근함과 친밀감을 느낀다. 이 모든 요소들이 모여 사람들로 하여금 대단히 특별한 맛이라곤 할 수 없는 이 겨울 붕어들을 만나기 위해 바쁜 걸음을 멈추게 만드는 것이다.
요즘에는 잉어빵, 미니 붕어빵, 팥이 아닌 색다른 앙금이 들어있는 붕어빵 등 다양한 붕어빵을 볼 수 있고 붕어빵 장사로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까지 들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붕어빵을 제일 처음 먹는 부위가 어디냐에 따라 먹는 사람을 성향을 알아볼 수 있는 심리테스트도 있다고 한다. 그만큼 붕어빵은 단순히 먹거리를 넘어 한 시대를 대변하고 우리 삶의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경제적인 이윤까지 창출하는 하나의 상품으로 발전하였다. 오늘도 붕어빵은 겨울 도시의 삭막함 속에서 손을 호호 불며 추위와 싸우는 사람들과 우리의 따뜻한 삶을 위해 노릇노릇 구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