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일부 <알기 쉬운 북한 사이트에서> (http://unikorea.go.kr/cgi-kr/body.cgi?24B24/B241.htm) 
 
 
    한반도가 분단된지도 5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남북간에는 서로 다른 체제를 유지해옴으로써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의식 구조에도 많은 이질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민족정신의 바탕이 되는 언어까지도 그 용어의
 
 개념이나 표현방식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는 것은 또 하나의 민족적 불행으로서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북한에서는 우리의 표준어와는 달리 이른바 {문화어}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문화어란 김일성의 어록과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다듬은 것으로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한자어는 한글고유어로 대체하고 고유어가 없을 때는 그 뜻을 풀어 쓰며 ② 외래어 역시 고유어로 대체하고 ③ 정치용
 어는 사상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한자어라 할지라도 수정을 금하며 ④ 과학기술용어 및 대중화된 한자어, 외래어는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자어의 경우 "견인선(牽引船)"은 {끌배}, 외래어 "볼펜"은 {원주필},
 
 일상용어 "도시락"은 {곽밥} 등으로 표현하는 데 이는 우리의 표준어와 다른 예들이다. 또 "효과를 얻다"를 {은을 내다},
 
 "책상다리를 하다"를 {올방자를 틀다}로 표현하는 등 말의 형태에서도 우리와 완전히 다른 것도 있다.
 
 남북의 달라진 일부 언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 한 
 | 
 
 북 한 
 | 
 
 남 한 
 | 
 
 북 한 
 | 
 
 
 
 가난에 찌든 삶 
 | 
 
 애옥살이 
 | 
 
 건성으로 
 | 
 
 걸써 
 | 
 
 
 
 가르치다. 
 | 
 
 배워주다. 
 | 
 
 걸신들리다. 
 | 
 
 걸탐스럽다. 
 | 
 
 
 
 가사(家事) 
 | 
 
 집안거두메 
 | 
 
 검문소 
 | 
 
 차단소 
 | 
 
 
 
 가정주부 
 | 
 
 가두녀성 
 | 
 
 검산 
 | 
 
 뒤셈 
 | 
 
 
 
 각선미 
 | 
 
 다리매 
 | 
 
 게시판 
 | 
 
 알림판 
 | 
 
 
 
 간섭 
 | 
 
 간참 
 | 
 
 계단논 
 | 
 
 다락논 
 | 
 
 
 
 감광지 
 | 
 
 빛느낌종이 
 | 
 
 계란말이 
 | 
 
 색쌈 
 | 
 
 
 
 감독 
 | 
 
 책임연출 
 | 
 
 계모 
 | 
 
 후어머니 
 | 
 
 
 
 강약(엑센트) 
 | 
 
 세기바루 
 | 
 
 고생살이 
 | 
 
 강심살이 
 | 
 
 
 
 개고기 
 | 
 
 단고기 
 | 
 
 고함지르다. 
 | 
 
 고아대다. 
 | 
 
 
 
 갸름하다. 
 | 
 
 갈람하다. 
 | 
 
 곧바로(즉시) 
 | 
 
 대미쳐 
 | 
 
 
 
 거짓말 
 | 
 
 꽝포 
 | 
 
 골키퍼 
 | 
 
 문지기 
 | 
 
 
 
 건망증 
 | 
 
 잊음증 
 | 
 
 공무원 
 | 
 
 정무원 
 | 
 
 
 
 공염불 
 | 
 
 말공부 
 | 
 
 귀빈석 
 | 
 
 주석단 
 | 
 
 
 
 공휴일 
 | 
 
 휴식일 
 | 
 
 그늘진곳 
 | 
 
 능쪽 
 | 
 
 
 
 과거 
 | 
 
 어제날 
 | 
 
 근거(根據) 
 | 
 
 근터구 
 | 
 
 
 
 관광 버스  
 | 
 
 유람 뻐스 
 | 
 
 근질근질하다 
 | 
 
 그닐그닐하다 
 | 
 
 
 
 괜찮다. 
 | 
 
 일없다. 
 | 
 
 기가막히다 
 | 
 
 억이막히다 
 | 
 
 
 
 교대 
 | 
 
 대거리 
 | 
 
 기록영화 
 | 
 
 시보영화 
 | 
 
 
 
 구설수 
 | 
 
 말밥 
 | 
 
 기성복 
 | 
 
 지은옷 
 | 
 
 
 
 구성 
 | 
 
 엮음새 
 | 
 
 기우뚱하다 
 | 
 
 기울써하다 
 | 
 
 
 
 국물 
 | 
 
 마룩 
 | 
 
 김매기 
 | 
 
 풀잡이 
 | 
 
 
 
 초등학교 
 | 
 
 인민학교 
 | 
 
 꼭지점 
 | 
 
 꼭두점 
 | 
 
 
 
 군인 가족 
 | 
 
 후방 가족 
 | 
 
 꽃다발 
 | 
 
 꽃묶음 
 | 
 
 
 
 궁금하다 
 | 
 
 궁겁다 
 | 
 
 꾀병 
 | 
 
 건성 
 | 
 
 
 
 궁리 
 | 
 
 궁냥 
 | 
 
 꿈나라 
 | 
 
 잠나라 
 | 
 
 
 
 궐련 
 | 
 
 마라초 
 | 
 
 낌새 
 | 
 
 짬수 
 | 
 
 
 
 나돌아다니다 
 | 
 
 게바라다니다 
 | 
 
 농지정리 
 | 
 
 포전정리 
 | 
 
 
 
 나들이옷 
 | 
 
 갈음옷 
 | 
 
 높은음자리표 
 | 
 
 고음기호 
 | 
 
 
 
 낙수물 
 | 
 
 기스락물 
 | 
 
 누룽지 
 | 
 
 밥가마치 
 | 
 
 
 
 난류 
 | 
 
 더운흐름 
 | 
 
 눈썰미 
 | 
 
 눈정신 
 | 
 
 
 
 날씨 
 | 
 
 날거리 
 | 
 
 눈총을 주다 
 | 
 
 눈딱총을 놓다 
 | 
 
 
 
 내습성 
 | 
 
 누기견딜성 
 | 
 
 다이알(전화) 
 | 
 
 번호판 
 | 
 
 
 
 냉대하다 
 | 
 
 미우다 
 | 
 
 다항식(多項式) 
 | 
 
 여러다미식 
 | 
 
 
 
 냉수욕 
 | 
 
 찬물미역 
 | 
 
 단무지 
 | 
 
 무우겨절임 
 | 
 
 
 
 냉장고 
 | 
 
 냉동기 
 | 
 
 단발머리 
 | 
 
 중발머리 
 | 
 
 
 
 냉쥬스 
 | 
 
 찬단물 
 | 
 
 단비 
 | 
 
 꿀비 
 | 
 
 
 
 네트오바(배구) 
 | 
 
 손넘기 
 | 
 
 단잠 
 | 
 
 쪽잠 
 | 
 
 
 
 노려보다 
 | 
 
 지르보다 
 | 
 
 대중 가요 
 | 
 
 군중가요 
 | 
 
 
 
 노크 
 | 
 
 손기척 
 | 
 
 대풍년 
 | 
 
 만풍년 
 | 
 
 
 
 녹색 식물 
 | 
 
 풀색 식물 
 | 
 
 덴마크 
 | 
 
 단마르크 
 | 
 
 
 
 도넛 
 | 
 
 가락지빵 
 | 
 
 들길 
 | 
 
 벌길 
 | 
 
 
 
 도약 경기 
 | 
 
 조약 경기 
 | 
 
 들창코 
 | 
 
 발딱코 
 | 
 
 
 
 도와주다 
 | 
 
 방조하다 
 | 
 
 디딤돌 
 | 
 
 구팡돌 
 | 
 
 
 
 도착하다 
 | 
 
 가닿다 
 | 
 
 떠맡기다 
 | 
 
 밀맡기다 
 | 
 
 
 
 도통하다 
 | 
 
 들고깨다 
 | 
 
 뜬소문 
 | 
 
 뜬말 
 | 
 
 
 
 도화선 
 | 
 
 불심지 
 | 
 
 뜻밖 
 | 
 
 꿈밖 
 | 
 
 
 
 독수공방 
 | 
 
 공방살이 
 | 
 
 레코드 
 | 
 
 소리판 
 | 
 
 
 
 돌풍 
 | 
 
 갑작바람 
 | 
 
 로터리 
 | 
 
 도는네거리 
 | 
 
 
 
 동의어 
 | 
 
 뜻같은말 
 | 
 
 롤러 
 | 
 
 굴개 
 | 
 
 
 
 두건 
 | 
 
 베감투 
 | 
 
 루마니아 
 | 
 
 로므니아 
 | 
 
 
 
 뒷걸음질 
 | 
 
 물레걸음 
 | 
 
 리그전 
 | 
 
 련맹전 
 | 
 
 
 
 드라이 크리닝 
 | 
 
 화학세탁 
 | 
 
 리듬체조 
 | 
 
 예술체조 
 | 
 
 
 
 드레스 
 | 
 
 나리옷 
 | 
 
 리본 
 | 
 
 댕기 
 | 
 
 
 
 드문드문 
 | 
 
 도간도간 
 | 
 
 마무리 
 | 
 
 뒤거두매 
 | 
 
 
 
 마스게임 
 | 
 
 집단체조 
 | 
 
 모퉁이 
 | 
 
 굽인돌이 
 | 
 
 
 
 만조 
 | 
 
 참물 
 | 
 
 몹시 떠들어대다 
 | 
 
 과따대다 
 | 
 
 
 
 만화영화 
 | 
 
 그림영화 
 | 
 
 몽타쥬 
 | 
 
 판조립 
 | 
 
 
 
 맞벌이 부부 
 | 
 
 직장세대 
 | 
 
 묘책/요령 
 | 
 
 묘득 
 | 
 
 
 
 매운 바람 
 | 
 
 칼바람 
 | 
 
 무겁고큰걱정 
 | 
 
 된걱정 
 | 
 
 
 
 먼지 
 | 
 
 몽당 
 | 
 
 무상교육 
 | 
 
 면비교육 
 | 
 
 
 
 먼친척 
 | 
 
 결찌 
 | 
 
 문장 
 | 
 
 글토막 
 | 
 
 
 
 메리야스 
 | 
 
 뜨게옷 
 | 
 
 물가 
 | 
 
 물녘 
 | 
 
 
 
 명령문 
 | 
 
 시킴문 
 | 
 
 뭉게구름 
 | 
 
 더미구름 
 | 
 
 
 
 명암 
 | 
 
 검밝기 
 | 
 
 뮤지컬 
 | 
 
 가무이야기 
 | 
 
 
 
 모닥불 
 | 
 
 무덕불 
 | 
 
 미드필드(축구) 
 | 
 
 중간방어수 
 | 
 
 
 
 모락모락 
 | 
 
 몰몰 
 | 
 
 미소 
 | 
 
 볼웃음 
 | 
 
 
 
 모자이크 
 | 
 
 쪽무늬 그림 
 | 
 
 미숙아 
 | 
 
 달못찬아이 
 | 
 
 
 
 모터 싸이클 
 | 
 
 모터 찌클 
 | 
 
 미풍 
 | 
 
 가는바람 
 | 
 
 
 
 민간 요법 
 | 
 
 토법 
 | 
 
 벼락부자 
 | 
 
 갑작부자 
 | 
 
 
 
 민간인 
 | 
 
 사회사람 
 | 
 
 변태 
 | 
 
 모습갈이 
 | 
 
 
 
 민속 놀이 
 | 
 
 민간 오락 
 | 
 
 보장 
 | 
 
 담보 
 | 
 
 
 
 바티칸 
 | 
 
 바띠카노 
 | 
 
 보조개 
 | 
 
 오목샘 
 | 
 
 
 
 반격 
 | 
 
 반타격 
 | 
 
 보태주다 
 | 
 
 덧주다  
 | 
 
 
 
 반환점 
 | 
 
 돌아오는점 
 | 
 
 볶음밥 
 | 
 
 기름밥 
 | 
 
 
 
 방안지 
 | 
 
 체눈종이 
 | 
 
 볼펜 
 | 
 
 원주필 
 | 
 
 
 
 방직공장 
 | 
 
 직포공장 
 | 
 
 부근 
 | 
 
 아근 
 | 
 
 
 
 방청소 
 | 
 
 방거두매 
 | 
 
 불도저 
 | 
 
 평토기 
 | 
 
 
 
 방화 
 | 
 
 불막이 
 | 
 
 브라우스 
 | 
 
 양복적삼 
 | 
 
 
 
 배영 
 | 
 
 누운헤염 
 | 
 
 비를 잠시 피하다 
 | 
 
 비그이하다 
 | 
 
 
 
 배웅하다 
 | 
 
 냄내다 
 | 
 
 비밀 아지트 
 | 
 
 비트 
 | 
 
 
 
 백일해 
 | 
 
 백날기침 
 | 
 
 비스켓 
 | 
 
 바삭과자 
 | 
 
 
 
 버라이어티쇼 
 | 
 
 노래춤 묶음 
 | 
 
 빨리  
 | 
 
 날래 
 | 
 
 
 
 삐삐(전화호출기)  
 | 
 
 주머니종  
 | 
 
 샛노랗다 
 | 
 
 노라노랗다 
 | 
 
 
 
 사례 발표회  
 | 
 
 경험 교환회  
 | 
 
 생리통/월경통 
 | 
 
 달거리아픔  
 | 
 
 
 
 사무직 근로자 
 | 
 
 근로 인테리 
 | 
 
 생활 필수품 
 | 
 
 인민소비품 
 | 
 
 
 
 사병  
 | 
 
 하전사 
 | 
 
 서명  
 | 
 
 수표 
 | 
 
 
 
 사실혼부부 
 | 
 
 뜨게부부 
 | 
 
 성숙아 
 | 
 
 자란아이 
 | 
 
 
 
 산란기  
 | 
 
 알쓸이철 
 | 
 
 
			 |  
		|  |  
		|  |  
				|  |  
		|  |  
		|  |  
		| 
								
					| 황신혜 "다시는 안벗어"/사투리 안선.. (2) 한방에훅 | 조회 16,446 | 추천 1 | 09.14
 |  
					| 외로움 심리테스트 (1) 둥이 | 조회 4,423 | 추천 111 | 09.14
 |  
					| 새 암릉 코스/양산 천성산의 하늘리지.. (1) 옹알이 | 조회 13,934 | 추천 0 | 09.14
 |  
					| 박목월...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 (1) 자살토끼 | 조회 10,970 | 추천 1 | 09.14
 |  
					| '땅이름 연구'에 대하여 (0) 가시버시 | 조회 11,995 | 추천 115 | 09.14
 |  
					| 정선지역의 방언의 특징 (2) 와그라노 | 조회 13,577 | 추천 70 | 09.14
 |  
					| 충청도 신혼부부..ㅋ 물좀주소.♬ ♬ (2) 사이사이 | 조회 10,547 | 추천 145 | 09.14
 |  
					| ⊙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2) 호리호리 | 조회 11,490 | 추천 136 | 09.14
 |  
					| 대둔산 초·중급자용 리지 ‘양파’ (0) 옹알이 | 조회 14,588 | 추천 0 | 09.13
 |  
					| '음성인식' 기술발전에 사투리가 문제 (1) 울랄라 | 조회 12,992 | 추천 2 | 09.13
 |  
					| 색깔로보는  사람의 성격진단 (1) 두더지★ | 조회 5,400 | 추천 89 | 09.13
 |  
					| 1번을 찍은 당신은? (0) 위더스 | 조회 4,381 | 추천 148 | 09.13
 |  
					| 이규태의 실전 리지등반 강좌 (1) 옹알이 | 조회 14,712 | 추천 0 | 09.13
 |  
					| 표준어를 경상,전라,충청도 말로..... (2) 큐티걸 | 조회 12,733 | 추천 0 | 09.13
 |  
					| 내설악 호령하는 한계령의 초대형 수직.. (1) 빙글빙글 | 조회 12,312 | 추천 0 | 09.13
 |  
					| 조선말의 사투리 (3) 초코퍼지♡ | 조회 15,905 | 추천 0 | 09.13
 |  
					| 서민가사에 나타난 토박이말과 (2) 탱구 | 조회 14,461 | 추천 0 | 09.13
 |  
					| 이른바 특수토씨에 관한 고찰 (2) 휴머니즘 | 조회 13,235 | 추천 83 | 09.13
 |  
					| * 강릉 사투리 어휘 자료 (하) (0) 이래저래 | 조회 10,897 | 추천 124 | 09.13
 |  
					| 충청도 사투리 유머래유~~~ ♡.♡ .. (1) 사다리 | 조회 10,659 | 추천 104 | 09.13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