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동영상 포인트
공지 [필독]회원등급 확인 및 기준, 등급조정 신청 방법 안..
자유토크
방언 연구자료
우이우리 | 2011.10.29 | 조회 14,666 | 추천 1 댓글 3
方言이란, 언어학적인 의미에서, 한 언어가 內的이거나 外的인 변화에 의해서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계층적으로 分化되었을 때에, 그 공간, 그 시간, 그 계층의 언어체계를 總稱한다. 이 경우에 공간적으로 분화된 방언을 地域方言(regional dialect)이라 하고 시간적으로 분화된 방언을 時間方言(temporal dialect)이라 하며 계층적으로 분화된 방언을 社會方言(social dialect)또는 階層方言(class dialect)이라 한다.

 그런데 시간차 즉, 세대차에 의한 시간방언과 계층차에 의한 계층방언은 지역방언의 下位方言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연령과 사회계층 등의 변수를 常數로 고정시키면, 하나의 언어는 공간적 차이에 의한 지역방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방언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方言學은 한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지역방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공시적 방언구조와 통시적 방언분화의 구조를 밝힘을 목적으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로 규정된다.

  방언학은 언어이론의 변화와 더불어 몇 차례 연구 방법상의 변화를 겪었다. 다시 말하면, 전통적인 방언학은 역사비교언어학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地理的 硏究가 중심을 이루었으며 구조주의 언어학이 등장하면서 방언학에는 지리적 연구외에 記述的 硏究가 도입되었다. 다시 생성문법론이 언어학의 主流을 이루고 여기에 사회언어학이 支流를 이루면서 둘 이상의 방언에 대한 생성문법론적 연구와 사회언어학적 연구가 방언학에 도입되었다.

  국어의 방언은 1910년에 일본인 학자 小倉進行에 의하여 비로소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로부터 지금까지 약 80년의 역사를 가지게 되었다.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면 국어의 방언은 두 가지의 연구방법에 의하여 연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위에 언급된 方言學的 硏究方法에 의한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一般言語學的 硏究方法에 의한 연구이다. 방언의 연구를 방언학적인 것으로 限定하는 경우에는, 지리적 연구(後述),  기술적 연구(後述), 둘  이상의 방언에 대한 生成文法論的 硏究와 社會言語學的 硏究만이 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공시적으로 그 범위가 한정된 自然語에 대한 연구도 방언 연구라는 범주에 포함시킨다면, 일반언어학적 연구방법에 의한 地域語의 연구도 방언 연구에 속하게 된다.

  여기서는 그러한 두 가지 연구방법에 의하여 연구된 성과를 다 서술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하거니와, 서술의 편의를 위하여 방언학적 연구와 일반 언어학적 연구를 구분하기로 한다.

 

 

                                                  2


   (1) 方言學的 硏究


 순수한 방언학적 국어방언 연구는 그 수가 그렇게 많지 않다. 생성문법론을 적용한 방언학적 연구는 없으므로, 이 방면의 연구를 지리적 연구, 방언 구획론, 기술적 연구, 그리고 사회언어학적 연구로 나누어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地理的 硏究

  지리적 연구는 言語地理學(linguistic geography)또는 方言地理學(dialect geography)이라고 불려지는데 흔히 방언학과 같은 뜻으로 이해될 만큼 방언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것은, 현지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그 자체나 여러가지의 記號로써 地圖 위에 해당지점에 표시하고 언어 자료와 지리적인 事項(地勢, 교통, 행정구역, 사회문화적 요소 등) 즉, 非言語的인 요소와의 관계에서 그 언어 자료의 역사를 再構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국어방언에 대한 지리적 연구는 그 수가 매우 한정된다. 小倉進平(1924,1940), 河野六郞(1945), 李翊燮(1981), 이기갑(1986), 金忠會(1990)등이 언어지리학的인 연구로 인정되고 있지만, 언어지도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거쳐서 해당 언어 자료의 역사를 재구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하는 연구는 河野六郞(1945)에 한정되며 小倉進平(1924,1940)과 이기갑(1986)에 부분적으로 그러한 연구가 포함되어 있을 뿐이다.


2) 方言區劃論

  방언구획은 한 언어가 사용되는 지역사회를 방언특징에  의하여 몇 개의 方言圈으로 나누는 방언학적 작업을 말한다. 그것은 구조적 가치가 있는 방언 특징들로써 等語線등어선(isogloss)을 설정하고 그들 등어선들이 합쳐지는 뭉치(等語線束 bundle of isoglosses)에 의하여 방언 경계선을 그음으로써 이루어진다.

  국어 방언에 대한 구획문제는 여러 論著에서 논의되었다. 먼저 대체로 郡 單位의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小倉進平(1940)과 河野六郞(1945)는 전국적인 방언구획을 논의하였으며 崔鶴根(1976)은 남부방언군과 북부방언군을 구별하는 방언구역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金泳松(1963)과 金永泰(1975)는 경상남도의 방언구획을 , 千時權(1965)와 李基白(1969)는 경상북도의 방언구획을, 박지홍(1983)은 경상북도의 방언구획을 李秉根(1973)은 강원도와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의 방언구획을 각각 논의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읍, 면 단위의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道 單位에 대한 하위방언 구획이 논의되었다. 李翊燮(1981)은 강원도의 하위방언 구획을, 이기갑(1986)은 전라남도의 하위방언 구획을, 蘇江春(1989)는 전라북도의 하위방언 구획을, 그리고 金忠會(1990)은 충청북도의 하위방언 구획을 각각 논의하였다.


3) 記述的 硏究

  기술적 연구는, 하나의 방언을 독립된 언어 체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 개별방언의 언어 체계를 기술한 다음, 방언 상호간의 체계와 체계를 비교함으로써 공시적 방언구조와 통시적 방언분화의 구조를 밝히려는 것이다.이러한 기술적인 연구를 위하여는 방언구획론에 의한 하위방언의 구획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기술적 연구는 지금까지 국어 방언연구에서 이루어진 것이 없다. 그런 의미의 연구에 가장 접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는 李翊燮(1981)의 '第4章 嶺東方言의言語構造와 그 分化`와 蘇江春(1989)가 있다. 이 밖에 李秉根(1967, 1969)는 구조방언학의 이론을 적용하여 하위방언들의 체계적 비교를 시도한 것이며 李秉根(1973), 郭忠求(1983), 李丞宰(1983), 李秉根ㆍ鄭承喆(1989)등은 기술적인 연구로서의 방언분화 문제를 다룬 것이다.


4) 社會言語學的 硏究

  사회방언 또는 계층방언에 대한 관심은 일찍부터 있었지만, 이 방면에 대한 초기의 관심은 사회의 특수층에 국한된 隱語나 鄙語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수사회집단의 언어 범주에서 벗어나서 둘 이상의 방언이 사회언어학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에 들어와서의 일이었다.

  李翊燮(1970)은 이 방면의 선구자적 연구로서, 어휘와 사회적 요소(교육,교통,通婚 등)와의 관계를 통하여 전라북도 북부지역의 언어분화를 밝히려고 한 것이며 姜信沆(1976)은 경북의 동북부 지방의 언어차이를 사회문화적 요인(班村과 民村)으로써 설명하려고 한 것이다. 그리고 李翊燮(1976a)는 강원도의 동해안 지역의 어휘차이를 직업(농업과 어업)이라는 사회적 요인으로써 설명하려고 한 것이며, 崔明玉(1980a)는 경북 영해지역의 반촌(농촌)과 민촌(어촌)에 대한 언어 전반에 걸친 조사연구를 통하여 두 지역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차이를 일으킨 사회문화적 요인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한편 朴慶來(1984)는 동일 지역 내의 음운론적 차이가 世代差異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음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2) 一般言語學的 硏究


  지리적 연구와 방언구획론, 공시적 방언구조와 통시적 방언분화의 구조를 밝히기 위한 기술적 연구 그리고 사회언어학적인 연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어 방언연구는 일반언어학적 연구에 속하게 된다. 일반언어학적 국어 방언연구는 그 배경이 되는 이론에 따라 다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즉, 역사비교언어학과 언어지리학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第1期와 구조주의 언어학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第2期, 그리고 변형생성문법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第3期가 그것이다. 여기서는 각 시기에 대하여 언어연구의 핵심부라고 할 수 있는 音韻面, 形態ㆍ統辭面, 意味面에 서술의 범위를 한정하되, 紙面관계로 각 시기에서 해당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였다고 생각되는 연구에 比重을 두면서 서술하기로 한다.


1) 第1期의 연구

  1910년대에서 1950년대 중기 이전까지의 연구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 시기는 言語學史 상으로는 역사비교언어학 이론과 구조주의 언어학 이론이 교체되는 시기이지만, 이 시기의 국어 방언연구에 지배적인 영향을 행사한 것은 역사비교언어학 이론이다.

  이 시기의 연구는 小倉進平에 의하여 主導되었다. 小倉進平은 국어의 특징과 계통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국어의 역사적 발전을 추적하기 위하여(1940:3)방언연구에 착수하였다. 그가 다룬 주제들은 국어의 음운사적인 것으로, 특히 消失音韻 ` . `와  `외, 여, 요`등의  이중모음, 語中이나 音節中의 `ㅿ,ㅸ,ㄱ`,겸양어미그리고 종결어미 등이었다(1944).

  이러한 主題들은, 각각의 주제가 고려될 수 있는 어휘항목들을 통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조사되고 그 결과 수집된 방언형의 지리적 분포를 고려하여 해석되었다. 그러므로, 자연히 대상지역은 全國的이거나 道 이상의 단위가 되었다.

  개별 어휘항목의 지리적 분포가 중요한 고려대상이었으므로, 이 시기의 연구자들에게는 언어 단위의 기능보다는 형식의 확인이 중시되었으며, 따라서 개별방언의 체계는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 뿐만 아니라 공시적 문제와 통시적 문제의 구별 또한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2) 第2期의 硏究

  1950년대 중기 이후에서 1960년대 말 이전까지의 연구가 여기에 포함된다. 언어학사 상으로 이 시기는 구조주의 언어학 이론과 변형생성문법 이론이 교체되는 시기이지만, 이 시기의 국어 방언연구는 구조주의 언어학 이론의 지배적인 영향 아래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연구는, 방언을 그 자체 독립된 체계를 가진 언어로 취급하면서, 주로 개별 방언에 대한 공시적인 체계나 구조를 밝히는 데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음운면에서는 음운목록의 작성이나 음운체계의 확립 그리고 음운현상에 대한 단순한 기술(初期)로부터 음운현상과 음운체계와의 유기적인 해석(後期)이,형태ㆍ통사면에서는 경어법,의문법,서법,시제 등 문법 범주에 따른 형태소 목록의 작성이 주된 주제였다. 이 시기에 통사면과 의미면은 거의 연구 주제가 되지 못하였다.

  음운면에서, 음운목록은 최소대립쌍(minimal pairs)이나 音의 分布(distribution)를 통하여 작성되었으며(許雄, 1954; 金永松,1963 등)음운체계는 프라그학파의 對立(opposition)의 개념을 통하여 논의되었다(鄭然粲1968a 등). 그리고 그 수가 얼마되지는 않지만, 음운현상에 대하여는 어절 단위를 기준으로 한 聲調類型 및 성조변동(許雄,1954)과 액센트 체계(李崇寧,1959)그리고 형태소 내부의鼻音化(李炳銑,1967)에 대한 연구 등이 이루어진다. 1960년대 후반에는 음운현상을 음운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해석하고(李基文, 1969) 동남방언이 진정한 성조방언인가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는(李然粲 1969)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졌다.

  형태.통사면에서는, 조어법, 격변화, 시제, 상, 서법, 경어법 등의 문법 범주에 대한 형태소의 형식과 기능을 공시적으로 밝히고 그것은 형태사적으로 검토하거나(李崇寧, 1957) 서법 종결어미의 형식과 기능을 밝히려는(申昌淳, 1963) 극소수의 연구를 제외하면, 이시기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업적은,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 보고의 범주에 드는 것이었다. 제주도 방언의 어미에 대한 보고( 金榮敦, 1956-7; 박용후, 1960)과 동남방언 특히 경남방언의 문법형태 및 어미에 대한 보고(羅鎭錫, 1963; 崔鶴根, 1964-65) 등이 그러한 것이다.

 위에서 개관한 바와 같이, 이 시기의 연구는 체계로서의 방언을 인식하고, 공시적 현상과 통시적 현상을 명확하게 구별하며,공시적 현상과 통시적 현상을 체계와 관련시켜 고찰할 수 있도록 방언연구의 수준을 향상시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르러 순수 방언학적 연구가 크게 위축되었으며, 일반 언어학적 연구도 표면적인 언어 단위의 파악에 집착한 나머지 형태소의 실재와 음성형으로의 실현과정, 언어 단위의 통사적 기능이나 의미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인 평을 받게 된다.

 


3)  第3期의 硏究

   1970년대 초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 시기는 언어학사 상으로 변형생성문법 이론이 계속 수정.보완되고 한편으로는 언어에 비언어적 요소들을 고려하는 사회언어학과 화용론 등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이시기의 국어방언은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지배적인 영향 아래서 연구되어 왔으며 사회언어학 이론이나 화용론에 의한 연구는 아주 드물다.

   이 시기의 방언연구는, 음운면에서는 형태음소의 교체를 지배하는 音頭規則의 精密化와 音頭過程의 說明이 형태 통사면(의미면 포함)에서는 문법형태소들의 통사기능과 의미특성의 究明이, 의미면에서는 어휘의 意味資質의 구명이 주요 주제가 되어 왔다.

  이 시기에 이르러, 음운면에서는 종래에 거의 관심사가 되지 않았던 형태소 경계에서의 음운현상과 그에 대한 설명이 시도되었으며(李翊燮, 1972)형태소 내부에서의 형태소구조규칙과 형태소 경계에서의 음운규칙과의 관계가 고려되었고(李秉根, 1973) 형태소 경계에서 일어나는 형태음소의 교체를 통한 공시적인 음운현상의 설명이 시도되었다(崔明玉, 1976a, 李丞宰, 1980 등). 그리고 성조현상을 생성음운론적으로 설명하려는 성조 연구는 이 시기에 그렇게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몇 편의 연구에서 주로 어절 단위의 성조현상에 대한 생성음운론적 설명이 시도되었고(김차균, 1973; Ramsey, 1974 등)  최근에는 동일 성조현상에 대한 자립 분절음운론적 설명이 시도되기도 하였다(이병건, 1986). 한편, 해당 지역어의 자료를 통한 內的再構와 다른 방언과의 비교를 통하여 특정 지역어에 대한 통시적 음운 연구가 이시기에 이루어졌으며(李基文, 1977; 崔明玉, 1980b; 朴昌遠, 1983 등) 해당에 대한 통시적·공시적 연구와 아울러 통시적 음운변화와 공시적 음운현상과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崔明玉,1982).

   형태  통사면에서는, 통합관계와 계열관계를 고려함으로써 형태소를 통사구조와 관련시켜 해당 문법범주를 체계화하거나 형태소의 통사기능과 의미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시작되었다(李翊燮, 1974, 崔明玉, 1976b 등).

   의미면에서는 체계적 연구가 시도된 것이 없지만, 주로 방언형들의 의미자질을 파악하려는 어휘의미론적 연구가 이루어졌다(田光鉉, 1973; 李翊燮, 1976b).

   위에서 개관한 바와 같이, 이 시기의 방언 연구는 第2期의 연구가 가진 결함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다시 말하면, 방언의 실재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방언현상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설명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방언현상을  지배하는 규칙의 설정에 의하여 해당 방언의 언어사실에 대한 더 많은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저 실재와 규칙을 통한 개별방언의 공시적 설명은 방언 상호간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상위체계로서의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구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으며 내적재구와 방언의 비교연구를 통한 개별방언의 통시적 연구는 폭넓은 국어사를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들어서 방언연구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사실은 바람직하다고 하겠으나, 다루는 주제와 해석방법이 기존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거나, 자료에 대한 정밀하고 폭넓은 조사과정은 거치지 않고 相異한 이론을 고정된 자료에 적용시켜 해석만 달리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는 사실은 바람직스럽지 않다고 하겠다

1
추천

반대
0
TAG #사투리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댓글쓰기
최신순 추천순
팔 | 추천 0 | 11.03  
이거 오빠가 한글로 해석해서 읽어야겠니?
0    0
니암 | 추천 0 | 11.01  
한글로 다 쓰란말이다!!!!ㅋㅋㅋㅋ
0    0
마른꽃잎 | 추천 0 | 10.31  
한문이라 읽기 어려워요 ㅠㅠ
0    0
고기를 낚았다, 살림망 vs 살림통 .. (4)
입질의추억 | 조회 12,940 | 추천 0 | 10.29
포인트만 알면 OK! 신진도 낚시 포.. (3)
입질 | 조회 13,576 | 추천 0 | 10.29
방언연구(유형,특징,의의,표준어와방언.. (1)
휴머니즘 | 조회 13,277 | 추천 4 | 10.28
시화방조제 낚시 공략 비법, 채비 (.. (3)
울랄라 | 조회 20,032 | 추천 0 | 10.28
밤낚시의 묘미, 붕장어 낚시로 여름밤.. (4)
입질의추억 | 조회 15,200 | 추천 0 | 10.27
대물을 낚기위한 필수품 "뜰채"의 중.. (3)
입질의추억 | 조회 14,769 | 추천 0 | 10.27
손가락으로 알아보는 나의 사랑 심리테.. (6)
맨날놀고싶다 | 조회 4,259 | 추천 40 | 10.27
방언의 개념 (1)
이쁜걸 | 조회 13,301 | 추천 3 | 10.27
변태심리테스트 (5)
알지 | 조회 4,748 | 추천 41 | 10.27
가을철 바다낚시의 훼방꾼 모기퇴치 방.. (3)
아우성 | 조회 12,801 | 추천 0 | 10.26
넉살 (2)
븅븅날자 | 조회 11,602 | 추천 1 | 10.25
날씨에 관한 속담 (2)
유리구두 | 조회 15,524 | 추천 148 | 10.25
바다낚시의 기본은 물때, 물때를 알아.. (2)
아우성 | 조회 14,496 | 추천 0 | 10.25
조정래 소설 [한강-3권]에 나오는 .. (0)
호리병 | 조회 14,141 | 추천 76 | 10.24
조정래 소설 [한강-2권]에 나오는 .. (1)
사이사이 | 조회 11,891 | 추천 139 | 10.23
아이와 함께 등산하기 " 산은 아이들.. (4)
애플 | 조회 9,747 | 추천 0 | 10.23
우울증진단테스트 (5)
아우성 | 조회 4,524 | 추천 67 | 10.22
생일로 알아보는 사람의 유형 (7)
박광수 | 조회 3,412 | 추천 40 | 10.22
사투리와 표준어 (2)
라임★ | 조회 12,808 | 추천 0 | 10.22
경남 고성 옥천사 연화산 등산 이야기.. (3)
올리브 | 조회 14,614 | 추천 0 | 10.22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